#include <vector>

void main()
{
	std::vector<int> v;
}

 

1. vector의 개념

  - 동적 배열로 구현되어 있음

  - 정적배열과 동적배열의 차이

    1) 정적배열 : 생성할때 공간의 크기를 지정해줘야하고, 한번 할당하면 크기를 변경할 수 없음

    2) 동적배열 : 스스로 공간을 할당하고, 크기를 확장할 수 있고, 또 줄일수도 있음

 

  - 각각의 원소들이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선형으로 배열되어 있음

  -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존재하므로 index, iterator를 이용해 순차적으로도, 직접적으로도 접근 가능

 

  - vector 객체를 생성시 먼저 큰 공간을 할당하고 시작함, 새로운 값이 들어오면 그 공간에 넣어줌

  - 만약 공간이 가득 차면 아예 새로운 더 큰 공간을 할당하고, 해당 공간에 기존 값들을 모두 복사하고, 새로운 값을 추가함

  - 위와 같은 이유로 공간이 가득 차면 새로운 공간할당, 값들을 모두 복사까지 해주는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음

  - 또한 미리 큰 공간을 할당하고 시작하므로 array보다 메모리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됨

  - 때문에 많은 값이 들어올 예정이라면 resize함수를 이용해 미리 큰 공간을 할당하고 시작하면 좋음

 

 ※ vector에 insert나 remove등을 하면 iterator값이 무효화됨, 새로 계속 구하면서 써야함

 

2. vector의 장점

  1) 각각의 원소를 index값으로 바로 참조 가능, O(1)의 시간복잡도

  2) 벡터 끝에 새로운 원소를 추가하거나 제거할때 빠름(공간이 남아있다면 O(1)이지만, 아니라면 O(n))

  3) array와는 다르게 초기화 하지 않고 할당만 해도 값이 모두 0이 들어가 있어서 쓰레기값을 처리할 필요가 없음

 

3. vector의 단점

  1) 끝이 아닌 시작이나 중간에 새로운 원소를 삽입/삭제하는 작업은 deque나 list보다 느림

  2) 먼저 큰 공간을 할당하고 시작하므로 array보다 메모리 공간을 더 많이 사용함

  3) 사전에 할당된 공간이 가득차면 새로운 공간할당, 기존 내용 복사 등의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음

  4) vector에 insert나 erase등을 하면 iterator값이 무효화됨, 계속 새로 구하면서 써야함  
      하지만 애초에 insert나 erase를 자주 사용해야 한다면 vector를 채택하지 않는것이 맞음

      그래도 꼭 vector에서 여러번 erase해야 한다면 remove와 함께 활용
  5) 공간이 부족해서 새로운 공간을 할당받으면 기존에 사용하던 iterator들이 모두 무효화 됨

 

4. vector의 함수 원형

  template <class T, class Allocator = allocator<T>>
  class vector;

- T : (보관하려는) 원소의 타입
- Allocator : 많은 경우 생략함
                   어떠한 방식으로 메모리를 할당할지에 관련한 할당자(allocator) 타입을 나타낸다. 
                   기본값으로 T 의 할당자 클래스 템플릿을 사용하며, Heap 에 할당하게 된다.

 

5. vector의 멤버 변수들

- reference : Allocator::reference
- const_reference : Allocator::const_reference

- iterator : 임의 접근 반복자(random access iterator)
- const_iterator : 상수 임의 접근 반복자 (즉, 접근하는 원소의 내용을 수정 못함)
- reverse_iterator : 역 반복자 (끝에서 부터 참조해나간다) `reverse_iterator<iterator>`
- const_reverse_iterator : 상수 역 반복자 `reverse_iterator<const_iterator>`

- size_type : 벡터 size 를 나타내는 타입 (많은 경우 size_t 와 타입이 같으며 부호없는 정수이다)
- difference_type : 벡터 내의 두 원소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타입 (많은 경우 ptfdiff_t 와 타입이 같으며 부호있는 정수)
- value_type : 원소 타입 (T)
- allocator_type : 할당자

- pointer : 포인터 (Allocator::pointer)
- const_pointer : 상수 포인터 (Allocator::const_pointer)

 

6. vector의 멤버 함수들

1) 생성자 : 벡터를 생성한다.
2) 소멸자 : 벡터를 소멸한다.

3) 연산자
- operator= : 벡터의 내용을 복사한다.

4) 반복자 (Iterators)
- begin : 시작 부분 (벡터의 첫번째 원소) 을 가리키는 반복자를 리턴한다.
- end : 끝 부분 (벡터의 마지막 원소 바로 다음) 을 가리키는 반복자를 리턴한다.
- rbegin : 역순으로 첫번째 (즉, 벡터의 마지막 원소) 를 가리키는 반복자를 리턴한다.
- rend : 역순으로 끝 부분 (즉, 벡터의 첫번째 원소 바로 이전) 을 가리키는 반복자를 리턴한다.
- cbegin, cend, crbegin, crend도 지원

5) 할당 관련
- size : 벡터의 size 를 리턴한다 (현재 원소의 개수)
- capacity : 현재 벡터를 위해 할당된 전체 공간의 크기를 리턴한다.
- max_size : 시스템상 최대로 할당할 수 있는 벡터의 최대 공간의 크기를 리턴한다.
 
- resize : 벡터가 size 개의 원소를 포함하도록 변경한다.
- reserve : 벡터에 할당된 크기를 변경한다.

- empty : 벡터가 비었는지 체크한다.
- shrink_to_fit : Shrink to fit  
할당된 공간을 현재 vector의 size만큼 줄이는 함수

6) 원소 접근 관련
- operator[] : 원소에 접근한다.
- at : 원소에 접근한다.
- front : 첫번째 원소에 접근한다.
- back : 마지막 원소에 접근한다.
- data : 벡터의 시작 주소값을 리턴함

7) 수정자 (Modifier)
- assign : 벡터에 원소를 집어넣는다.
- push_back : 벡터 끝에 원소를 집어 넣는다.
- pop_back : 마지막 원소를 제거한다.

- insert : 벡터 중간에 원소를 추가한다.
- erase : 원소를 제거한다.
- clear : 원소를 모두 제거한다.

- swap : 다른 벡터와 원소를 바꿔치기 한다.

- emplace : 원소를 insert함, 다만 emplace는 옛날거고 push_back과 insert가 요즘꺼니 이걸 쓰라고 하던데...
- emplace_back : 제일 뒤에 값을 추가함, 이거보다 push_back 사용을 권장한다고 들었음

 

8) 할당자
- get_allocator : 할당자(allocator) 을 얻는다.

 

※ push_back과 emplace_back

push_back : 임시객체를 만든 후 벡터에 넣을때 복사함

emplace_back : 임시객체를 만들지 않고 해당 벡터에 들어갈 수 있는 가장 가까운 형태로 추론해서 바로 들어감

그래서 push_back이 복사가 한번 더 일어나서 비효율적일 수 있지만 형변환문제에서 안전하고, emplace_back은 좀 더 빠를 수 있지만 예상치 못한 자료형으로 들어갈 수 있어서 안정적이지 않을 수 있음

그리고 요즘은 컴파일러가 복사생략도 알아서 해주니까 push_back으로 안정성 챙기는걸 추천하는 듯 함

 

7. vector 사용 팁들

1) 벡터 생성시
- default 생성자 : std::vector<int> v; 처럼 생성하면 size 0짜리 vector가 생성됨
- 갯수 지정 : std::vetor<int> v(10); 처럼 생성하면 size 10짜리 vector가 생성됨
- 순회 복사 : std::vector<int> v2(v1.begin(), v1.end()); 처럼 생성하면 v1의 시작부터 끝까지 순회하며 복사
- 복사생성자 : std::vector<int> v1 = v2; 처럼 생성하면 v1이 v2와 동일한 원소를 복사본으로 가지는 벡터를 생성

2) 벡터에 대입
- 정적배열 -> 벡터 대입

int nums[] = {1, 2, 3, 4}; 
std::vector<int> v(nums, nums + sizeof(nums) / sizeof(int));

 

- assign 함수로 대입  
  - 벡터객체에 이전에 있던 내용을 모두 삭제하고 인자로 받은 새로운 내용을 넣음
  - v.assign(v2.begin(), v2.end()); 처럼 하면 v2의 처음부터 끝까지
  - v.assign(n, u); 처럼 하면 n개의 u를 넣음

- 심지어 다른 컨테이너의 값도 가져올 수 있음

  - set이나 deque같은 객체에서 vector로 값을 옮길 수 있음
  - 기본적으로 vector객체 = set객체; 식의 대입은 불가능한데 vector.assign(set.begin(), set.end()); 형태로 대입 가능

 

  3) 벡터에 삽입
- vector의 size가 capacity보다 커지면 재할당을 받게 되고, 재할당을 하면 이전에 얻은 모든 iterator가 무효화됨
- vector의 중간에 삽입을 하게 되면 해당 위치 뒤에 있는 값들을 모두 한칸씩 밀어야 하니 비효율적
- 애초에 vector에 insert하는건 효율적이지 못하니 중간위치에 삽입이 많이 필요하다면 list를 사용하는게 맞음

 

- 그럼에도 사용해야한다면

v.insert(itr, 100); // itr위치에 100값을 insert
v.insert(itr, 2, 200); // itr위치에 2개의 200을 넣음
v.insert(itr, v2.begin(), v2.end()); // itr위치에 v2의 시작부터 끝까지 삽입
// itr자리에 v.begin()같은걸 쓸 수도 있음


4) 벡터에서 값 삭제
- 값 한개를 지우려면 `v.erase(v.begin() + 5);` 처럼 사용하면 `v[5]`가 삭제되고 한칸씩 땡겨짐
- 벡터에서 erase를 사용할때마다 iterator가 무효화되므로 불편한데 remove / remove_if와 함께사용해서 해결 가능
- 특정 값을 모두 지우려면 `vec.erase(remove(vec.begin(), vec.end(), 3), vec.end());`처럼 사용하면 벡터 내의 모든 3을 제거해줌

 

5) 이중벡터 크기 지정

std::vector<std::vector<int>> v(행크기, std::vector<int>(열크기));`
// 또는
std::vector<int> v[행크기];

 

6) 속도
미세하지만 vector보다는 array가 빠르고, array보다는 일반배열이 빠르다.  
그러므로 알고리즘 문제풀땐 그냥 일반배열 쓰는게 이득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vector나 array를 꼭 써야하는데 속도를 올리고 싶다면  
data() 멤버함수로 포인터값을 받아서 이 값으로 접근하면 일반배열과 같은 속도로 사용 가능하다.  

 

8. vector 사용시 주의사항

1) Shrink to fit
- 벡터에 많은 값들이 들어갔다가 나오게 되면 capacity가 아주 커진채로 저절로 줄어들지 않음
- clear나 resize해줘도 내부 원소만 날리는거고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는 줄어들지 않는다고 함
- 해결법은 swap방식과 shrink_to_fit이 있음

- swap방식은 resize나 clear한 후에 vector<int> (v).swap(v); 해주면 됨
- shrink_to_fit()은 C++11부터 제공되는데 이게 약간 문제가 있다고 함
- 해당 사이즈만큼 새로운 벡터를 만들어서 기존 원소들을 copy하는 방식이라 큰 vector라면 애매함
- 어쨋든 사용하려면 resize나 clear한 후에 shrink_to_fit()하면 됨
- 호환성 걱정되면 기존버전인 swap 쓰면 될 듯

2) vector<bool>은 다른 자료형과 다르게 사용됨
- 메모리 공간을 아끼기 위해 bool만 템플릿 특수화 되었다고 함
- 결과적으로 bool의 레퍼런스는 bool&가 아니라 vector<bool>내의 멤버변수를 통해 처리된다고 함
- 이게 문제가 된다고 하는데 operator[]가 std::vector<int>에 비해 2배이상 느리다고 함
- 그래서 std::vector<bool> 쓸바에는 std::vector<int>써서 0, 1로 처리하는게 더 낫다는 말이 있는 듯함
- bool이 int보다 메모리를 아낄 수 있지만 어차피 scope 벗어나면 자동 해제되니까 메모리 손해는 작은 반면 속도는 차이가 큰가봄

3) iterator가 무효화되는 상황이 종종 생김
- 더 큰 공간이 필요해서 새로운 공간을 할당한 후 값들을 복사한 경우 iterator가 무의미해짐
- insert나 erase를 할 경우 기존의 iterator가 무의미해짐(저절로 한칸 옮겨서 계산 안해줌)  
그러므로 insert나 erase를 연속적으로 여러번 사용한다면 바로 뒷줄에 itr = vec.begin()같은걸로 다시 값을 지정해줘야함
그냥 애초에 이런 상황이 생기지 않게 insert나 erase를 할 상황이 많으면 list를 채택하는것이 맞음
- erase의 경우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remove 사용

 

 

 

 

출처 : https://cplusplus.com/reference/vector/vector/